2021년 말 미국에서는 테이퍼링 및 금리인상(3년간 8차례!!)을 공식화했고, 기존 시장 예상보다 빠르고, 급격하게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저금리 기조는 전 세계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일종의 공식된 포지션이지만, 정 반대의 행동을 했을 경우 우리는 투자방안을 많이 바꿔 대응해야 한다. 금리 상승 시 주식 매매전략 국내 자산시장 전문가들도 동의하듯 고위험, 고수익 전략을 이제 비중을 급격히 축소해야 하며 다양한 악재도 동시에 고민해야 한다고 한다. 고물가 인플레이션과 예상하지 못한 코로나의 변이 등의 두 가지 짐은 일단 업고 가는 거고.. 대응 전략 1. 미국의 연 1%의 기준금리는 '22년에 두 번 인상해 1.5%까지 오름. (국내도 1월 14일 한국은행에서 공식화할 예정) 2. 성장주보다는 가치주..
워런 버핏이 계속해서 주식을 매도하고 있다. 무려 4분기 연속으로 21년도는 서서히 팔았다고 해도 무방하다. 워런 버핏의 회사인 '버크셔 해서웨이'는 실적을 발표할 때 주식을 순매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워렌버핏이 4분기 연속 매도한 것은 지난 2008년 이후 처음이다. 그러면서 무엇을 했느냐? 당연히 현금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버핏은 이에 대해서 시장이 거품을 낀 상태로 운용 중이며 이는 리스크 증가 요인으로 보고 있었다. 너무 많은 유동성은 주가 과열을 불러왔으나.. 그래도! 워런 버핏이 단 4개의 주식은 단단히 쥐고 있다. 1. 애플 2. 뱅크오브아메리카 3.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4. 코카콜라 그중에 애플은 전체 지분을 5% 넘게 가지고 있는데 버핏은 자주 애플에 대해서 추가 매수를 권했으며..
국내 주식은 답이 없다고 말을 한다. 최근에서야 나도 그렇게 느끼고 미국 증시에 투자를 급격히 늘렸고 국내 주식은 30%, 미국 주식은 60%, 나머지는 동남아시아 등에 분산투자를 했다. 지난 2021년을 돌아보며 미증시에서 가장 수익률이 높은 ETF를 찾아보았다. 2021년 미국 ETF TOP 10 순위 심볼 21년 누적 수익 최근1년 최근3년 1 SPY 26.20% 34.15% 77.35% 2 IVV 26.24% 34.26% 77.99% 3 VTI 25.39% 35.57% 79.14% 4 VOO 26.27% 34.24% 77.60% 5 QQQ 26.25% 37.59% 135.17% 6 VEA 13.46% 23.75% 42.47% 7 IEFA 13.47% 22.74% 40.65% 8 AGG -1.80%..
카카오페이(kakaopay)는 카카오가 만든 핀테크 전문기업으로 최근 2021년 11월 3일 주식시장에 화려하게 상장하며 시가총액이 무려 20조가 넘는 국내 대기업입니다. 카카오페이의 초봉과 평균연봉, 미래성장가능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페이 초봉, 평균 연봉수준 카카오페이의 초봉은 약 4,000만원 정도 됩니다. 잡코리아 기준으로 카카오페이의 평균 연봉은 5,500만원 정도 됩니다. 하지만 Opensalary 기준으로는 6,200만원이 평균 연봉으로 기재됩니다. 또한, 사람인 기준으로는 6,749만원이 기재됩니다. 중구난방인 이유가 아직 신생기업으로 속해서 제대로 된 조사방법이 없으며 성과급의 항목이 높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IT 기업답게 실력과 능력 베이스로 연봉을 상승시켜주는 경우가 많고..
베트남개발이나 SNK가 수십% 의 배당으로 개미들을 유혹하지만 시총도 워낙 작고 변동성이 커서 크게 투자매력이 떨어집니다. 배당수익률 5% 이상의 대기업으로만 배당투자를 하는 것이 조금더 안전합니다. 국내 대표 고배당주식 국내 대표 배당 주중 제일 추천하는 것은 역시 삼성증권입니다. 삼성증권은 21년 전례 없는 실적에 비해 22년은 실적 가이던스가 조금은 낮아지기는 하나 비슷한 은행주/증권주도 별 차이 없습니다. 그중에도 삼성증권은 '21년 가장 많은 배당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그다음은 NH투자증권, 우리 금융지주 등의 은행 관련주입니다. 막대한 이자 수익을 바탕으로 고배당을 실시합니다. 제조업으로 눈을 돌려보면 포스코와 금호석유도 5% 이상의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중 전고점보다 낮아진 상태라서..
SOXL ETF 정보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X3) 2010년 출시한 ETF로 정식 명칭은 SOXL '|Direxion Dly SemiconductorBull 3XETF'라고 불립니다. 즉 미국 반도체 지수를 3배 레버리지하는 상품입니다. 1%가 오르면 3%가 오르고 1%가 떨어지면 3%가 떨어집니다. 지난 '20년 초반 코로나로 회복하기 어려울 듯 보였으나 향후 지속적인 성장 기대감으로 70달러를 넘었습니다. 5년 수익률은 1,700%, 18배 정도의 수익, 연평균 60%이상 입니다. (참고로 비트코인 5년 수익율은 6,000%입니다.) 3배 ETF의 보수율은 0.96%, 배당도 없습니다. 완전 배짱 장사죠?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배당과 수수료가 의미가 없는 정도의 상승으로 보답합니다. 국내의 배..
주식 떨어지고 코인도 박살나니 안전자산에 대해 떠오르고 있는 것이 '금 투자'입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금 상승이 급등했던 경우가 있었죠. 미국 주식이 정점에 다다른 분석과 각종 경제불안으로 '22년도 금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는 예측이 많습니다. (1. 미중 패권경쟁, 2. 코로나 타격, 3. 돈의 가치 하락) 금 실물 구입 한국 금 거래소(KRX)에서 직접 골드바를 실물로 구입이 가능합니다. 은행에서도 구입 가능 하지만 수수료 5%에 부가세 10%라서 골드바 매수는 5년 이상의 장기보관이 아니라면 의미가 없습니다. 15%의 상승까지 버티기 어렵다면 실물 구입은 비추천합니다. 물론 골드바로 구매하면 매매차익이 생긴 후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는 것.(미리 세금을 다 내버렸으니깐..) ..
미국 대표 ETF QQQ, SPY, DIA - ETF란? ETF(Exchange Traded Fund)는 말 그대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ETF는 그냥 10개 이상의 주식을 하나로 묶어서 거래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비슷한 테마의 회사를 하나로 거래하는 편리함이 있고, 안전성도 보장된다. QQQ ETF 인베스코(Invesco)에서 운용하는 ETF이고,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종목 중에 시가총액이 크며, 거래량이 많은 100개 종목의 평균값을 따르는 상품이다. QQQ는 기술주에 60% 이상, 그중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아마존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해당 미국 회사는 특정 부분에서 세계에서 '독..